Q 저희 아이는 중학교 1학년이고 소심한 성격의 여자아이입니다. 친구들과 친하게 지내기가 힘들어서 학교에 가기도 싫어할 정도인데요. 주변 상황에 부담감을 많이 느끼는 편이고 긴장도 많이 하는 편이라 어깨가 딱딱하게 잘 굳습니다. 이런 상태로 학교에서 하루 종일 긴장을 하다 보니 집에만 오면 긴장이 풀려서 파김치가 됩니다. 병원에서는 대인관계를 불안해하는 정서불안 증상이라고 하는데요. 딸 아이의 이런 증상 고칠 수 있을까요?
사춘기에 들어서 정서적으로 불안해지는 것은 일어날 수 있는 일입니다. 그래서 일상생활이 어렵다거나 증상이 과도하게 나타나기 전까지는 불안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불안은 정상적인 불안과 병적인 불안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현실적인 위험이 생길 때 누구나 다 불안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런데 병적인 불안은 현실적인 위험이 없을 때도 불안을 느낀다든지, 위협 요인이 사라졌는데도 불안이 지속된다든지 이렇게 불안 정도가 심해서 문제 해결에 장애가 되는 것을 ‘병적인 불안’이라고 합니다.
불안의 증상은 여러 가지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끔 심장이 두근거리고 빨리 뛴다든지 안절부절못하고 긴장을 많이 한다. 편안하게 숨을 쉴 수 없다. 나쁜 일이 일어날 것 같은 두려움을 느낀다. 등이 있는데요. 극심한 불안을 느끼면 공황상태라고 해서 아무런 예고 없이 갑작스럽게 심한 불안증세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불안장애는 심리적인 것과 더불어 불안한 행동이 일어납니다. 그래서 불안이 일어날 만한 상황을 피하려고 하는데요, 예를 들어 학교에 가는 것이 불안하면 학교에 안 가려고 합니다. 정서적인 부분이 신체적으로도 많이 나타나는데요. 소화가 잘 안되거나 설사나 변비가 심하다든지 가슴이 답답하고 숨쉬기가 힘들다. 뭔가 목에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땀이 많이 난다, 손발이 떨린다 이런 신체적인 증상으로 불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불안장애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어린 시절에 어머니와 떨어지기 싫어하는 분리 불안은 어느 정도 정상적인 현상인데요. 그런데 또래 관계를 시작해야 하는 연령임에도 불구하고, 어머니와 딱 붙어서 떨어지지 않으려고 하는 ‘분리불안장애’가 아동에게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냥 막연하게 불안증을 전반적으로 느끼는 ‘범(凡)불안장애’나 특정한 대상에 대해서 무서움을 느끼는 공포증도 있습니다. 강박적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되어있어야 하는 강박장애, 외상이 있은 후에 시기가 한참 지났는데도 계속 힘겨워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도 있습니다. 요즘 아이들이 학교 폭력 이후에 학교 가기 힘들어하는 것도 일종의 외상 후 스트레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불안장애를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을까요. 우선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집에서 간단하게 따라할 수 있는 뇌체조가 있는데요. 온몸 두드리기와 브레인스크린 명상법입니다. 온몸 두드리기는 온몸을 두드림으로 몸과 마음을 가볍게 해주는 동작입니다. 브레인스크린 명상법은 즐겁고 행복한 상상으로 마음속에 걱정과 불안을 덜어주는 명상법입니다.
▲ 온몸두드리기 뇌체조
정서가 불안한 아이들은 잠을 잘 못 잔다든지 배가 자주 아프기도 합니다. 불안을 치료하는 유일한 치료제는 부모님의 사랑과 지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먼저 부모님이 서로 사랑하는 모습을 아이에게 보여주시고 그 사랑이 아이에게 흐를 수 있도록 한다면 아이의 불안은 많이 줄어들 것입니다. 그리고 아이와 함께 있는 시간을 자주 갖도록 노력해주십시오. 아이가 긴장을 해서 배가 아프다고 하면 ‘엄마 손은 약손’이라는 말이 있죠. 배를 따뜻하게 만져주시는 것도 불안을 줄여줄 수 있는 방법이 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소아, 청소년기 우울증에 대해서 찾아뵙겠습니다.
▲ 키즈멘탈헬스를 진행하는 BR집중력클리닉 전열정 원장
[키즈 멘탈헬스 시리즈]
[1강] 야단쳐도 말 안 듣는 아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2강] 산만한 우리 아이 ADHD인 걸까요?
[3강] 조용한 우리 아이가 ADHD 라고요?
[4강] 아이들의 불안장애에 대하여
[5강] 신경질이 부쩍 늘어난 우리 아이, 우울증일까요?
[6강] 게임 중독에서 벗어나려면
[7강] 반항장애에서 대하여
더 자세한 내용을 원하는 분은 인터넷에서 체인지TV(www.changetv.kr)를 시청하거나 구글 혹은 앱스토어에서 ‘에브리온TV’ 앱을 다운받아 채널 111번으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정리. 김보숙 기자 bbosook70@hanmail.net | 자료. 체인지TV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