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조절장애는 '뇌' 문제…개인 성격과 상관 없어

미국 시카고대학교 연구진, 간헐절 폭발장애 등 뇌 스캐닝 분석



흔히 분노조절장애라 불리는 간헐적 폭발장애(Intermittent explosive disorder) 공격 충동이 억제되지 않아 심각한 폭력이나 파괴적 행동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가정생활이나 사회활동에 어려움을 겪게 되며, 특히 공격적 행동으로 인해 법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다.

미국 시카고대학교 연구진은 간헐적 폭발장애를 앓는 57, 폭식증 다양한 정신질환의 원인이 되는 정신장애를 앓는 58, 정상인 53 168명의 뇌를 스캐닝한 자료를 비교·분석했다

간헐적 폭발장애를 앓는 사람은 일반 정신장애 또는 정상인보다 회백질(Gray matter) 부피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회백질이 부족한 사람은 정서조절에 문제가 발생할 있으며, 다른 사람에 비해 공격적인 성향이 강하게 표출될 있다는 것이다.

회백질은 척추동물의 중추신경(뇌와 척수)에서 신경세포가 모여있는 곳이다. 중추신경의 조직을 육안으로 관찰했을 회백색을 띠는 부분이다. 회백질은 주로 신경세포와 수상돌기, 무수신경돌기 등이 차지한다. 정보처리와 인지기능, 정서조절 능력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시카고대학교 에밀 코카 박사는간헐적 폭발장애는 뇌와 관련한 질환이며, 개인의 성격과는 연관이 없다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생물정신의학저널(Journal Biological Psychiatry)’ 최신호에 실렸다.

. 이효선 기자 sunnim0304@gmail.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