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100명 중 9명이 치매에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2012년 치매 유병률 조사’ 결과 전국 65세 이상 노인 유병률은 9.18%로 환자수는 54만 1천 명(남성 15만 6천 명, 여성 38만 5천 명)으로 추정된다고 2일 밝혔다.
전체 노인인구 중 치매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는 '치매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환자수도 2012년 약 54만 명에서 2030년에는 약 127만 명, 2050년에는 약 271만 명으로 20년마다 약 2배씩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 5세 이상 한국 노인의 치매 유병률 및 치매 환자수 추이 (보건복지부 제공)
이번 조사는 지난해 4~12월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진료받은 65세 이상 6,008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전국 환자 규모와 경향 등을 조사한 것이다.
치매 유형별 분포를 살펴보면 전체 치매환자 중 알츠하이머 치매는 71.3%, 혈관성 치매는 16.9%, 기타 치매는 11.8%의 비율이다.
치매 중증도별 분포는 최경도 치매 17.4%, 경도 치매 41.4%, 중등도 치매 25.7%, 중증 치매 15.5%이며, 이중 최경도 및 경도 치매가 전체 58.8%를 차지한다.
이중 '경도인지장애'는 동일 연령대에 비해 인지기능이 떨어져 있는 상태로,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능력은 보존되어 있어 정상에서 치매로 이행되는 중간단계이다. 2012년 경도인지장애 유병률은 27.82%로 65세 이상 전체 노인 인구의 4명 중 1명이 치매 초기 증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위험도는 고령자일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이, 고학력자보다는 저학력자인 경우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65~69세에 비해 75~79세와 80~84세의 치매 위험도가 각각 3.76배, 5.7배였다. 85세 이상은 38.68배나 높아졌다.
여성의 위험도가 남성의 2.58배, 1년 이상 교육을 받은 학력자와 비교하여 무학자는 치매위험이 9.17배 높았다. 치매위험도를 높이는 요인으로는 배우자 부재(사별, 이혼, 별거, 미혼 등) 2.9배, 두부외상 과거력 3.8배, 우울증 2.7배였으나, 중강도 이상의 규칙적 운동을 꾸준히 한 사람은 0.3배씩 감소했다.
보건복지부는 2012년에 「제2차 국가치매관리종합계획(2013~2015)」을 수립한데 이어, 「국가치매관리체계 확립」을 국정과제로 확정하여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가칭)치매특별등급’을 신설하고, 주야간 보호시설을 확충하여 경증 치매환자의 요양부담을 줄일 계획이다.
임을기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과장은 “기존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주로 신체활동 장애를 평가하고 있는데 치매특별등급은 인지기능에 초점을 맞춰 평가하는 것”이라면서 “기존 장기요양보험 등급 판정에서도 인지기능 비중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글. 전은애 기자/ hspmaker@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