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무크(MOOC), 미네르바대학, 벤자민인성영재학교
"온라인 교육혁명 MOOC(무크)에서 미네르바 대학까지"
# 온라인 교육혁명, MOOC(무크)
’MOOC'란 ‘Massive Open Online Course (대규모 공개 온라인 강의’의 약어로, 말 그대로 수천명, 수십만명의 사람들이 동시에 온라인을 통해 강의를 듣는다는 얘기다.
MOOC는 수강자 수의 제한이 없는 대규모 강의로(Massive), 별도 수업료 없이(Open), 인터넷(Online)으로 제공되는 교육과정(Course)을 말한다. 하버드·MIT·스탠퍼드 등 세계 유수 대학의 강의를 원하는 시간에, 어디서나 듣는다는 장점 덕에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 대표적인 ‘무크' 서비스인 '코세라(Coursera)’ 수강생이 800만 명을 넘어설 만큼 그 변화는 혁명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무크’의 탄생은 전 세계 그 누구라도 언제든, 얼마든지, 집 안방에서 세계 명문학교의 강좌를 자유롭게 듣고, 수료증까지 딸 수 있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
EdX 첫 강의 수강생 15만명, MIT 150년 동문수 넘어
2012년 하버드대와 MIT가 공동으로 시작한 에드엑스(EdX)의 경우 첫 강의 수강생이 15만 여명이었는데, 이는 지난 150년간 MIT를 졸업한 동문수보다 많았다. 현재 누적 수강생수는 250만을 돌파했으며, 향후 10년간 10억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EdX는 하버드대와 MIT 외에 전 세계 34개 대학과 협약을 맺고 각 대학의 우수한 강좌를 전 세계 학습자에게 온라인 형태로 제공하고 있는데, 교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강의의 동영상과 자료, 과제까지 전부 열람할 수 있고, 필요하면 시험도 치를 수 있다. 과목을 패스하면 수료증도 발급해준다.
무크 서비스는 강의에 따라 무료 또는 유료(시험료)로 수료증을 발급하는데, 수료증은 대학 진학의 ‘스펙’으로도 활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지난해 MIT는 온라인으로 제공한 전기공학 강의를 우등으로 이수한 몽골의 17세 학생을 신입생으로 선발했으며, 무크의 수료증은 ‘링크드인(Linked in)’ 등 SNS의 프로필에 등록할 수 있어 외국 기업들이 채용에 참고하기도 한다.
과거 2001년 MIT는 "지식이 공개적으로, 그리고 자유롭게 공유될 때 교육이 가장 발전할 수 있다"며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강의를 전 세계에 무료로 공개하는 ‘지식기부’를 선보인 이래로 세계 유수의 대학들의 온라인 강좌를 촉발시킨 바 있다. 하지만, 현재 ‘무크’가 일으키는 변화는 그 전개 면에서 확연히 다른 혁명적인 교육패러다임의 전환을 예고하고 있다.
칸아카데미, 코세라 등 온라인 교육혁명 선두
‘무크’의 대표적인 사이트로 코세라(www.coursera.org)가 있다. 2012년 1월 오픈한 코세라는 당시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사용자 수가 170만 명으로 늘어나면서 페이스북 보다 빠른 증가를 보여 주목을 받았다.
‘코세라’의 인기는 단순한 온라인 강좌가 아니라는데 있다. 첫째, 코세라의 강의들은 효과적인 온라인 교육을 위해 따로 제작되었다. 둘째, 비디오 중간에 퀴즈가 나온다. 셋째, 숙제가 있고, 채점이 된다. 넷째, 스케줄에 맞게 새로운 강의가 업데이트 된다.
‘무크’를 얘기할 때, 칸 아카데미(Khan Academy)도 빼놓을 수 없다. Coursera가 탄생하기 전, 2011년을 뜨겁게 달구었던 웹사이트이다. 칸 아카데미(Khan Academy)는 2006년 살만 칸이 만든 비영리 교육서비스. 2012년 한 해에만 4,300만명의 학생이 칸 아카데미를 방문해 동영상 강의를 들었다. 이 중 65%는 미국, 나머지 35%는 전 세계 210여개국에서 방문했다. 설립자 살만 칸(Salman Khan)은 “교육은 사치재가 되어서는 안되며, 기술의 발달로 전 세계 누구든지 무료로 교육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될 것”임을 강조한다.
100% 기부금으로 운영되고 있는 칸 아카데미는 4천개의 동영상 강의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으며, 강의 범위도 초·중·고교 수준의 수학, 화학, 물리학뿐만 아니라 컴퓨터공학, 금융, 역사, 예술까지 넘나든다.
21세기 온라인 교육혁명, 한국은 어디에 있나
2013년 1월 뉴욕타임즈의 유명칼럼니스트 토마스 프리드먼이 “(무료온라인수업) 혁명이 대학을 강타하고 있다(Revolution Hits the Universities)”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언젠가는 당신의 원하는 수업만을 모아 대학 커리큘럼을 구성하는 날이 올 것이다. 너무나 저렴한 가격으로 스탠포드대학 교수에게 컴퓨터를, 와튼스쿨 교수에게 창의를, 에딘버러에서 문학을 공부하는 날 말이다. 새로운 세상이 열리고 있으며, 모든 사람이 이에 적응해야 할 것이다."라는 기고글을 남긴 바 있다. ‘무크’로 촉발된 변화가 어디까지 갈 지를 상징적으로 드러낸 칼럼이라 볼 수 있다.
‘무크(MOOC)'의 탄생과 발전은 전통적으로 학교라는 건물에서 사람들이 모여 교육을 받는 20세기형 교육방식의 변화를 상징한다. IT기술의 발달과 전 세계가 하나로 연결되면서 촉발된 온라인 교육혁명이 ‘21세기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만들어 내고 있는 셈이다.
# 미래교육의 상징으로 떠오른 미네르바대학
100% 온라인, 능동적 학습이 핵심
미래형 학교의 상징으로 떠오른 미네르바스쿨은 미국의 대학 컨소시엄인 KGI 인가 공식대학으로 벤처자본의 투자를 받아 설립됐다. ‘미네르바’라는 이름은 그리스신화 속 ‘지혜의 여신’에서 따왔다. 개교 준비과정을 거쳐 2014년 첫 입학생 28명을 받았다.
미네르바스쿨의 가장 큰 특징은 캠퍼스가 없다는 점이다. 그래서 모든 학생은 4년 내내 100% 온라인으로 수업을 받는다. 하지만, 미네르바스쿨에서 진행되는 온라인 수업은 단순히 녹화된 강의를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자체 개발한 ‘액티브 러닝 포럼(Active Learning Forum)’이라는 플랫폼에서 이뤄진다. 20명 이하로 교수의 일방적 수업이 아닌 참여와 토론 위주인 ‘능동적 학습’이 특징이다. 또 다른 특징은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이다. 수업에 앞서 학생들이 교수가 제공한 강연 영상을 미리 학습하고, 강의실에서는 토론이나 과제 풀이를 진행하는 형태의 수업방식을 말한다.
전 세계가 캠퍼스, 7개국 순회하며 기숙사 생활
100% 온라인 수업인 동시에 학생들 100%가 기숙사 생활을 한다. 특이한 점은 학생들은 기숙사 위치를 바꿔야 한다. 그래서 ‘캠퍼스 없는 대학’으로 불리는 미네르바스쿨의 활동은 오히려 웬만한 대학보다 훨씬 넓다. 대학의 유일한 오프라인 건물인 기숙사가 전 세계 7개 도시에 퍼져 있기 때문이다. 구글, 아마존, 우버 같은 기업에서부터 비영리단체나 사회기관에 종사하며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진행된다. 학생들이 해당 국가의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면서, 직접 부딪히며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방식이다.
미네르바스쿨은 2011년 설립됐고, 2014년부터 학생을 받기 시작했다. 5년차 신생대학이지만 하버드보다 들어가기 힘든 대학이라는 명성에 걸맞게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학생들이 몰린다. 2016년에는 306명을 뽑는데 1만6000여 명이 지원해 합격률 1.9%를 기록했다. 선발은 에세이와 면접 그리고 간단한 인지능력테스트를 통한다. 입학전형도 독특하다. 지원서에 중고등학교 성적증명서 외에는 어떤 시험 점수도 기재하거나 첨부할 수 없다. 이렇게 뽑았기 때문에 4년간 입학생의 75%가 미국 이외의 국적을 가진 학생들이었다. 유럽 아시아 중남미 아프리카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미네르바스쿨에 모여들었다. 바야흐로 20세기 교육을 벗어난 새로운 교육혁명이 일어나고 있다.
글. 브레인 편집부